목록학습 (2)
Helianthus
1. 실험목적 본 실험은 수면이 학습으로 기억된 정보를 인출하는 수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보고자한 실험이다. 동물에게 평균적인 수면 시간을 제공했을 때와 수면을 박탈했을 때의 지각 및 인지 능력의 차이를 알아본다. 2. 실험장비 ① 통로 : 처음에 동물을 실험 박스에 넣는 곳 ② 먹이 위치 cue 제시되는 곳 ⓐ solid 화살표 ( or ) : '해당 방향의 문의 레버를 눌러 들어가면 먹이가 있다'를 지시하는 화살표 ⓑ empty 화살표 ( or ) : '해당 방향의 반대 방향 문의 레버를 눌러 들어가면 먹이가 있다'를 지시하는 화살표 ③ 레버로 열리는 문 - 좌우 문에 각각의 문에만 반응하여 열게하는 레버가 장착되어 있음 (한 쪽 레버를 누르면 다른 한 쪽은 잠겨서 눌러지지 않음) ④ 먹이 두는 ..
미생물과 '학습'이라는 개념을 연관시켜 주제를 잡은 이유는 생물체들의 학습연구에 있어 여러 종류의 연구대상을 보아왔지만 미생물과 같이 뇌와 척수가 없는 생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었다. 뿐만 아니라 심리학 연구에 있어 실험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직접적으로는 실험적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간접적으로는 후에 윤리적 논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이다보니 부담이 적을 미생물에 개인적인 호기심이 일었기 때문이기도 하다. 주제 선정의 보다 가까운 계기가 된 일은 세계에서 저명한 과학저널인 (Nature)에 박테리아의 학습 능력과 관련된 기사를 발견했기 때문이다. 더해서 평소 수업 교재에서 다루는 실험과는 다르게 매우 최근의 실험 (후속연구나 심화연구가 부족하긴 하지만)이..